
예절교육전문기관 자주하는 질문 게시판안내입니다.

‘죽은 자가 아랫사람일지라도 웃어른이 그 영좌에 절을 하느냐?’ | ||||
---|---|---|---|---|
등 록 일 | 2014.03.06 14:03:31 | 조회 | 1926 | |
등 록 자 | 관리자 |
SNS공유하기 |
||
모 기관의 여름캠프에서 ‘직장인을 위한 메너 리더쉽’이라는 제목의 강의 중에 좀 엉뚱하지만 재미있는 질문을 받았다. ‘죽은 자가 아랫사람일지라도 웃어른이 그 영좌에 절을 하느냐?’는 요지다. 상가에서 사람이 죽으면 살아생전과 달리 아랫사람에게도 절하는 경우를 흔히 목격하고, 큰 사건이 터지면 TV화면에서도 그처럼 절하는 장면이 방영되다 보니 ‘먼저 간 고인에 대한 애도의 뜻’으로 오해할 만하다. 얼마 전 어느 저명인사가 사옥에서 투신자살한 일이 있었다. TV화면에 그 형이 동생의 영전에 절하는 장면이 방영되었다. 또 언젠가 대구에서 행방불명되었던 개구리소년의 유해가 15년 만에 발견된 일이 있었고, 그 부모들이 아들의 유해에 절하며 오열하는 모습이 방영되었다. 여기에 대한 반론의 기회가 없는 한 시청자는 당연한 것으로 믿게 될 것이다. 이처럼 TV의 힘은 대단하나, 아랫사람이 죽었다고 갑자기 웃어른으로 만들지는 못한다. 아랫사람은 죽어서도 아랫사람이다. 그런데 죽었다고 동생에게 아들에게 절 할 수 있는가? 절은 웃어른에 대한 공경의 뜻이지 슬픔의 표현이 아니다. 따라서 죽은 사람에게 절하는 것은 친구가 죽었을 때까지이다. 출처 :예사랑//한국예문화원 원문보기▶ 글쓴이 : 서은 하중호 |